Search

useImperativeHandle?

Tag
Frontend
Web
React
Category
FE문제풀이
Description
useImperativeHandle 훅은 부모가 자식 컴포넌트의 기능을 직접 사용할 수 있게 해주지만, 과도한 사용은 유지보수와 테스트를 어렵게 만들 수 있다. 따라서 신중하게 사용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AI 키워드
ID
22
Title
포스팅
2024/10/04
1 more property

질문

React에서 useImperativeHandle 훅을 사용하는 목적과 그 동작 방식을 설명하고, 언제 이를 사용해야 하는지 설명하세요. useImperativeHandle을 남용했을 때 문제점과 이를 방지하기 위한 사례를 설명해주세요.

질문 의도

useImperativeHandle 훅의 역할과 사용 목적 컴포넌트의 인스턴스 메서드를 외부에서 직접 제어해야 하는 상황을 얼마나 잘 이해하고 있는지를 평가하려는 의도입니다. 이 훅을 잘못 사용했을 때 발생할 수 있는 문제(React의 선언적 패러다임 훼손, 유지보수 어려움 등)를 알고 문제를 방지할 수 있는 능력을 확인합니다.

1. useImperativeHandle 가 왜 생겼는지?

useImperativeHandle 훅은 React에서 자식 컴포넌트가 부모 컴포넌트에게 특정 기능을 직접 노출시킬 수 있게 해주는 특별한 도구입니다. 이 훅이 만들어진 주된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직접적인 제어 필요성: 때로는 부모 컴포넌트가 자식 컴포넌트의 특정 기능을 직접 사용해야 하는 상황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복잡한 입력 필드나 사용자 정의 슬라이더 같은 경우입니다.
성능 최적화: 특정 상황에서는 props를 통해 데이터를 전달하는 것보다 직접 메서드를 호출하는 것이 더 효율적일 수 있습니다.
라이브러리 개발: React 컴포넌트 라이브러리를 만들 때, 사용자에게 특정 기능을 노출시키고 싶을 때 유용합니다.
하지만 이 접근 방식은 React의 일반적인 데이터 흐름(부모에서 자식으로 props를 통해 전달)과는 다릅니다. 대신 자식 컴포넌트의 내부 동작을 외부에서 조작할 수 있게 해줍니다. 이는 매우 강력한 기능이지만, 신중하게 사용해야 합니다. 왜냐하면 컴포넌트 간의 결합도를 높이고 코드의 예측 가능성을 낮출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useImperativeHandle은 꼭 필요한 상황에서만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대부분의 경우 props와 상태 관리만으로도 충분히 컴포넌트 간 상호작용을 할 수 있으며, 이 방식이 React의 기본 철학에 더 부합합니다.

2. useImperativeHandle 목적과 동작 방식

목적

자식 컴포넌트의 특정 메서드를 외부에서 호출할 수 있도록 하여, 보다 유연한 컴포넌트 설계를 가능하게 합니다.

동작 방식

useImperativeHandle은 두 번째 인자로 전달된 콜백 함수를 통해 자식 컴포넌트가 노출할 메서드나 속성을 정의합니다. 이 훅은 주로 forwardRef와 함께 사용되며, 부모 컴포넌트는 자식의 Ref를 통해 이 메서드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
import React, { useImperativeHandle, forwardRef, useRef } from 'react'; const ChildComponent = forwardRef((props, ref) => { useImperativeHandle(ref, () => ({ customMethod() { console.log('Custom method called'); } })); return <div>Child Component</div>; }); const ParentComponent = () => { const childRef = useRef(); const handleClick = () => { childRef.current.customMethod(); }; return ( <div> <ChildComponent ref={childRef} /> <button onClick={handleClick}>Call Child Method</button> </div> ); };
JavaScript
복사

3. useImperativeHandle가 React 선언형과 맞지 않는 이유

React는 선언적 프로그래밍 방식을 사용합니다. 이는 컴포넌트들이 상태와 props를 이용해 서로 정보를 주고받는 방식을 말합니다. 마치 부모가 아이에게 장난감을 주는 것처럼, 부모 컴포넌트가 자식 컴포넌트에게 필요한 정보를 전달하고, 이렇게 하면 코드를 이해하기 쉽고 예측 가능하게 만들 수 있습니다.
하지만 useImperativeHandle을 사용하면 이런 방식과는 조금 다르게 동작합니다. 이 훅을 사용하면 자식 컴포넌트의 내부 동작을 부모 컴포넌트가 직접 조종할 수 있게 됩니다. 예를 들어, 부모가 아이의 장난감을 직접 조종하는 것과 비슷합니다. 이렇게 하면 React의 기본적인 데이터 흐름 방식을 벗어나게 됩니다.
이런 방식은 때로는 유용할 수 있지만, 때로는 문제가 될 수도 있습니다. 컴포넌트들이 서로 너무 밀접하게 연결되어 각자의 역할 구분이 모호해질 수 있고, 코드의 흐름을 예측하기 어려워질 수 있습니다. 마치 퍼즐 조각들이 제자리를 벗어나 엉켜버린 것처럼… 이로 인해 나중에 코드를 수정하거나 새로운 기능을 추가할 때 어려움을 겪을 수 있습니다.

4. 문제점

캡슐화가 깨져요: 자식 컴포넌트의 내부 작동 방식이 부모에게 드러나면서, 컴포넌트들이 서로 너무 밀접하게 연결되어 버립니다. 이렇게 되면 각 컴포넌트가 독립적으로 작동하기 어려워집니다.
유지보수 난이도 상승: 부모 컴포넌트에서 자식 컴포넌트의 기능을 직접 호출하면, 나중에 자식 컴포넌트를 수정할 때 부모 컴포넌트도 함께 수정해야 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되면 코드를 관리하고 수정하는 게 점점 더 어려워질 수 있습니다.
테스트 난이도 상승: 컴포넌트들이 서로 너무 의존하게 되면, 각각의 컴포넌트를 따로 테스트하기가 어려워집니다. 마치 퍼즐 조각들이 서로 엉켜있어서 하나씩 떼어내기 힘든 상황과 비슷합니다.
이런 문제들 때문에, useImperativeHandle을 사용할 때는 정말 필요한 경우에만 신중하게 사용해야 하고, 대부분의 경우에는 props와 상태 관리만으로도 충분히 컴포넌트들을 관리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하면 코드도 더 깔끔해지고, 나중에 수정하거나 새로운 기능을 추가할 때도 훨씬 수월해질 거라고 생각합니다.

5.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한 사례

사례: 적절한 사용 및 대안

적절한 사용: useImperativeHandle을 사용할 때는 반드시 필요한 경우에만 사용해야 하며, 자식 컴포넌트가 내부 상태를 외부에서 직접 조작하는 것보다 더 나은 대안이 있을 때 이를 피해야 합니다.
대안: 컴포넌트의 상태를 props로 관리하고, 필요한 경우 콜백 함수를 통해 부모가 자식의 상태를 변경하도록 하는 방법이 더 바람직합니다.
const ParentComponent = () => { const [childState, setChildState] = useState(false); return ( <div> <ChildComponent state={childState} /> <button onClick={() => setChildState(!childState)}>Toggle Child State</button> </div> ); };
JavaScript
복사
이렇게 하면 ParentComponentChildComponent의 상태를 관리하면서도 캡슐화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