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정적 사이트 생성(SSG)

Tag
Web
App
Frontend
SSG
Category
프론트엔드
Description
정적 사이트 생성(SSG)은 변화가 적은 콘텐츠에 적합하며, HTML을 빌드 시점에 생성해 CDN에 배포해 높은 트래픽을 처리할 수 있다. 내가 SSG의 특성을 잘 이해하고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AI 키워드
ID
9
Title
포스팅
2023/08/12
1 more property

SSG

News나 상품상페이지 같은 경우는 컨텐츠가 생기면 자주 바뀌지 않기 때문에 매번 새로 만들어서 생성해줄 필요없이 완성된 페이지를 보여줄때 사용하는게 SSG이다.
보통의 경우 SSG는 Blog나, News 페이지 같은 곳에서 사용하면 좋을 것 같다. 특히나 제품의 상세 페이지 같은 경우에는 특히나 한번 완성을 하면 잘 수정하지 않기 떄문에 상세페이지만 SSG로 만들고 그걸 불러오는 쪽은 SSR, CSR로 해도 안에 내용은 SSG로 만들어낸 페이지를 보여주는 쪽으로 할 수 있을것 같다

SSG는 언제 HTML을?

SSG는 build 시점에 HTML을 만든다.

SSG는 보통

SSG는 보통 CDN 서버에 배포해 두고, CDN의 주소를 내려주고 다운받게 한다.
이때 사용하는 CDN 서비스의 경우 대부분 대용량 트래픽에 대한 용이성을 가지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SSG로 만들어진 사이트는 진짜 왠만해선 죽는 일은 없다고 한다.

가장 중요한건?

CSR, SSR, SSG의 특성을 다 이해하고, 적절하게 섞어쓰는게 중요한 것 같다
아직 SSG까지 섞어서 써본적은 없지만 꼭 해보고 싶은 작업이긴하다 ...